본문 바로가기
EPC 조달 전문가 교육 커리큘럼

EPC 프로젝트의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 LLI 관리부터 FIDIC 계약 활용까지 실무 가이드

by The Expediting Lab 2025. 4. 13.

EPC 프로젝트에서 공급망 리스크로 인해 일정 지연과 비용 초과를 경험한 적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팁과 자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1. EPC 조달 전략의 중요성

EPC 조달 전략은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공급망 리스크 관리는 납기 지연과 비용 초과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LLI(Long Lead Item) 관리, 공급업체 평가 및 관리, FIDIC 계약 조건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2. LLI(Long Lead Item) 관리 전략

LLI 관리는 EPC 프로젝트에서 납기 지연을 방지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 조기 식별 및 우선순위 설정: FEED 단계에서 LLI 품목을 식별하고 리드타임을 기준으로 발주 일정을 수립합니다. 예를 들어, 터빈, 변압기, 특수 밸브 등은 6개월 이상의 리드타임이 필요합니다.
  • 이중 소싱 및 안전 재고 확보: 단일 공급업체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2개 이상의 공급처를 확보하고, 예비 자재를 창고에 보관하여 긴급 상황에 대응합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중동 프로젝트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3. 공급업체 평가 및 협력 강화

공급업체 평가 및 관리는 프로젝트의 품질과 일정을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 체계적 평가 프레임워크: 기술력, 재무 안정성, 과거 실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항목  평가 요소
    기술력 인증, 특허, 참여 프로젝트
    재무 안정성 부채 비율, 현금흐름
    신뢰도 납기 준수율, 품질 불량률
  • Win-Win 협약 체결: Pain/Gain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목표 납기보다 빨리 완료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지연 시 위약금을 부과합니다.

4. 계약 조건 최적화

FIDIC 계약 조건의 활용은 리스크 분배와 분쟁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Silver Book(EPC/Turnkey)을 기반으로 리스크 분배 조항을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Force Majeure(불가항력) 발생 시 양측의 책임 한계를 정의합니다.
  • 리스크 완화 계획 수립: 리스크 우선순위(RPN)를 산정하고, 고위험 항목에 대한 보험 가입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합니다.

5. 실무 적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3단계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를 통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계획 단계: LLI 식별 → 공급망 매핑 → 계약 조건 검토
  2. 실행 단계: 실시간 추적 시스템 구축 → 월간 공급업체 평가
  3. 모니터링 단계: 리스크 보고서 작성 → 주간 리뷰 미팅 진행

또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IoT 센서를 활용하여 자재 흐름 시뮬레이션과 창고 재고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6. FAQ

Q1: LLI를 관리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A1: 프로젝트 전체 일정이 6개월 이상 지연될 수 있으며,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Q2: FIDIC 계약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나요?
A2: 국제 프로젝트에서는 FIDIC이 표준이지만, 현지 법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Q3: 공급업체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A3: 기술력과 납기 준수 기록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Q4: Pain/Gain 메커니즘은 어떻게 적용하나요?
A4: 목표 납기보다 빨리 완료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지연 시 위약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적용합니다.

 

Q5: BIM과 IoT 센서는 어떻게 활용하나요?
A5: BIM은 자재 흐름 시뮬레이션에, IoT 센서는 창고 재고 모니터링에 활용됩니다.


8.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