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C 조달 전문가 교육 커리큘럼25

Vendor 평가를 위한 7단계 점검표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공급업체 선정 전략 (2024) 오늘의 주제 Vendor 평가, 어떻게 해야 제대로 할 수 있을까요?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고 협력사 품질을 확보하는 핵심 전략, 지금부터 하나씩 알려드립니다. 여러분, 혹시 공급업체(Vendor) 평가 기준이 모호해서 벤더 선정에 자신이 없으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7단계 Vendor 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협력업체 선정의 객관성과 체계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어떻게 하면 평가 기준이 명확해지고, 품질·납기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 📑 목차 Vendor 평가가 중요한 이유 .. 2025. 4. 14.
중동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조달을 위한 Lesson & Learn 중동 지역에서 EPC(설계, 조달, 시공)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이 글에서는 리스크 관리부터 현지 협력까지, 중동 프로젝트 조달의 핵심 교훈과 전략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리스크 관리 체계화FEED 단계에서의 리스크 선제 식별프로젝트의 전면 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 단계에서 잠재적 리스크를 조기에 식별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KPMG의 리스크 관리 사이클에 따르면, 이 단계에서 LLI(Long Lead Items) 품목을 우선적으로 발주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엔지니어링은 카타르 에틸렌 저장소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Agile 모니터링 도입프로젝트 진행 중 주간.. 2025. 4. 14.
EPC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의 3대 원칙 여러분, 혹시 EPC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때문에 고민하고 계신가요? 이 글을 통해 조기 리스크 식별, 계약 조건 최적화, Agile 모니터링 방법까지 핵심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아래 내용을 천천히 따라오시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파악하실수 있습니다.목차왜 EPC 프로젝트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가?리스크 관리의 3대 핵심 원칙조기 리스크 식별 및 LLI 관리계약 조건을 통한 리스크 분배Agile 기반의 지속적 모니터링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리스크 관리 팁EPC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 활용되는 도구마무리 및 실전 적용을 위한 제안FAQ: 자주 묻는 질문들1. 왜 EPC 프로젝트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가?플랜트 업계에서 EPC 프로젝트는 복잡성과 규모 면에서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수십.. 2025. 4. 13.
EPC 프로젝트의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 LLI 관리부터 FIDIC 계약 활용까지 실무 가이드 EPC 프로젝트에서 공급망 리스크로 인해 일정 지연과 비용 초과를 경험한 적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소개합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팁과 자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1. EPC 조달 전략의 중요성EPC 조달 전략은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공급망 리스크 관리는 납기 지연과 비용 초과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LLI(Long Lead Item) 관리, 공급업체 평가 및 관리, FIDIC 계약 조건의 활용이 중요합니다.2. LLI(Long Lead Item) 관리 전략LLI 관리는 EPC 프로젝트에서 납기 지연을 방지하는 핵심 전략입니다.조기 식별 및 우선순위 설정: FEED.. 2025. 4. 13.
하이브리드 EPC 계약 실무 적용법 | 유연성과 리스크 관리 동시에 잡는 전략 EPC 계약 하나로는 복잡한 프로젝트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끼신적이 있을실겁니다.이 포스팅에서는 하이브리드 EPC 계약으로 어떻게 리스크는 줄이고, 예산 통제는 더 강화하는지를 다뤄보겠습니다.끝까지 읽으시면 적용 사례부터 FIDIC 활용법까지 한눈에 정리되어 있어요.1. 하이브리드 EPC 계약이란?복잡하고 장기적인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단일 계약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건 업계의 공통된 고민입니다.하이브리드 EPC 계약은 고정가(Lump Sum)와 실비보상형(Reimbursable) 계약을 조합해 유연성과 예산 통제를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이죠. 언제 활용하나요?프로젝트 초기, 범위나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을 때설계 변경 가능성이 높을 때발주처 정보가 충분치 않아 비용 산정에 리스크가 클 때2. 계약 구조.. 2025. 4. 13.
EPC 계약 유형 완전 정리 | 고정가 vs 목표가 계약 비교 가이드 “EPC 프로젝트에서 고정가(Lump Sum)와 목표가(Target Price) 계약 중 무엇이 더 안전할까? 이 포스팅에서는 고정가(Lump Sum)와 목표가(Target Price) 계약의 핵심 차이, 실무 적용 전략, 그리고 리스크 관리 포인트를 다뤄보겠습니다.실수 없는 선택을 위해 계약전에 한번쯤 읽어 볼만한 포스팅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1. EPC 계약 유형, 왜 중요한가?EPC 계약 유형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용 초과, 일정 지연, 품질 저하와 같은 리스크는 계약 유형 선택에 따라 크게 달라지죠.고정가(Lump Sum): 정해진 금액으로 끝까지 책임지는 계약목표가(Target Price): 발주처와 계약자가 손익을 공유하는 유연한 방식이제, 각각의 구조와 실무 적용법을.. 2025.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