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랜트프로젝트3

Procurement Scope 정의 및 타 부서 연계 흐름 플랜트 조달, 어디까지가 구매/조달팀의 업무 범위일까요? 이 글을 통해 조달 범위(Procurement Scope) 정의부터 타 부서와의 협업 흐름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수는 있으므로 일반적인 수준에서 구분하겠습니다)목차조달 범위가 왜 중요한가플랜트 조달 프로세스와 범위 정의타 부서 연계 전략실무 팁: 조달 범위 체크리스트FAQ – 실무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1. 조달 범위가 왜 중요한가조달 업무에서 "이건 누구의 일인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중복 발주: 같은 자재를 두 부서에서 요청일정 지연: 업무 책임 불분명으로 승인 지체품질 문제: 정확한 사양 공유 없이 발주계약 리스크: 스코프 누락으로 인한 분쟁 가능성실제로도 ‘프로젝트 후반에.. 2025. 4. 8.
EPC 계약(Contract)의 종류와 조달 방식 영향 조달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성공 전략EPC 계약 종류별 특징과 조달 방식이 프로젝트 성패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이 글을 통해 EPC 계약의 다양한 유형과 조달 전략의 연계 포인트를 알아보겠습니다.EPC 계약 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건이니 만큼 수행을 잘 하는 것과 더불어 핵심 전략이라 감히 판단하겠습니다.목차EPC 계약이란 무엇인가?EPC 계약 종류별 핵심 특징조달 방식에 따른 계약 전략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하이브리드 계약성공을 부르는 리스크 분배 구조실제 사례로 보는 계약 실패 vs 성공FAQ: 자주 묻는 질문마무리 및 행동 유도1. EPC 계약이란 무엇인가?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계약은 설계부터 조달, 시공까지 한.. 2025. 4. 7.
FEED 단계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목차왜 FEED 단계가 프로젝트의 운명을 결정짓는가FEED 단계에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5가지실무자 관점의 적용 전략최신 사례와 참고자료자주 묻는 질문(FAQ)1. 왜 FEED 단계가 프로젝트의 운명을 결정짓는가FEED(Front-End Engineering Design)는 프로젝트 전체 예산의 약 2%만 차지하지만, 이후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7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핵심 설계 단계입니다.하지만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집니다:범위 정의 미흡: 계약 후 설계 변경으로 평균 15~20%의 비용 증가리스크 식별 누락: 현장 시공 중 장비 재설계 발생정확도 낮은 견적: 총 프로젝트 비용 오차가 ±30% 이상이러한 이슈는 결국 공정 지연(평균 3~6개월)과 예산 초과(20% 이.. 2025.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