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PC 조달 전문가 교육 커리큘럼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 LLI 추적 시스템 구축 방법

by The Expediting Lab 2025. 4. 10.

오늘의 주제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에 LLI 추적 시스템이 필요할까요? LLI는 어떻께 관리해야 할까요?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LLI 추적 시스템, 도대체 왜 말이 많을까요?”
플랜트 프로젝트 일정 관리, 특히 장기 납기 자재(LLI)는 전체 공정을 좌우할 만큼 핵심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LLI 추적 시스템 구축 방법부터 실제 사례까지, 알차게 정리해드립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


목차

  1. LLI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2.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가 어려운 이유
  3. LLI 추적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4. 공급망 협업과 데이터 표준화 전략
  5. 실시간 대시보드로 일정 관리 혁신
  6. LLI 추적 시스템 도입 사례
  7. 실무자를 위한 팁과 주의사항
  8. FAQ
  9. 마무리 및 추천 글 안내

1. LLI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LLI(Long Lead Item), 즉 장기 납기 자재는 제작과 운송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플랜트 핵심 기자재를 의미합니다.
터빈, 압축기, 특수 밸브, 압력 용기 등이 여기에 해당하죠.

이런 LLI는 조달 기간이 6개월~18개월 이상 걸리기도 하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관리하지 않으면 프로젝트 전체 일정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LLI 추적 시스템은 자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도착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의 핵심 도구입니다.


2.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가 어려운 이유

현업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슈로 인해 프로젝트 지연이 반복됩니다.

  • 자재 추적의 부재: 수동 Excel이나 이메일 기반 관리로 자재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지 못함
  • 정보 갱신 지연: 공급업체 보고 데이터가 늦어지면 자재 입고 일정도 흐트러짐
  • 공급망 커뮤니케이션 미흡: 표준화되지 않은 데이터 형식으로 예측 정확도가 떨어짐

2024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LLI로 인해 공정 병목을 경험한 기업은 전체의 57%에 달합니다.
건설산업 재탄생 전략 Reinvent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 A Rebirth Strategy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편저


3. LLI 추적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

3.1 IoT 센서 및 위치 추적 기술

  • RFID/QR코드를 활용해 기자재 위치를 실시간 추적
  • 현장 입고부터 설치까지 자동 기록
  • 실시간 위치 정확도 98% 이상 확보

📌 실제로 S사는 이 시스템을 도입한 후 배송 지연률을 45% 줄였다(고 들었습니다)

3.2 디지털 트윈 연동

  • BIM 4D 모델과 연계하여 가상 시공 시뮬레이션 가능
  • 자재가 일정에서 이탈할 경우 최대 2주 전 사전 경고 발송

이러한 기능은 단순히 자재 위치 추적을 넘어, 공정 전체의 흐름을 예측하고 조정하는 데 탁월합니다.


4. 공급망 협업과 데이터 표준화 전략

LLI 추적 시스템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공급망 전체의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4.1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 JSON/XML 포맷으로 공급사 데이터를 통합
  • 데이터 처리 시간 최대 70% 단축

4.2 API 자동 연동

  • 자재 출하 → 선적 → 통관 → 입고까지
  • 각 단계별 데이터를 API로 자동 수집하여 갱신

4.3 계약 구조 개선

  • 지연 발생 시 계층적 위약금 적용
  • 예시
    - 1~7일 지연: 하루당 계약 금액의 0.05% 위약금이 부과
    - 8~14일 지연: 하루당 0.1% 위약금이 부과됨

공급사에 책임을 명확히 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구조입니다.


5. 실시간 대시보드로 일정 관리 혁신

  • CPM (Critical Path Method) 기반 일정 추적
  • Gantt 차트 연동으로 전체 공정 흐름 시각화
  • 위험 자재 알림, 리드타임 예측 기능 포함

실제 사용되는 LLI 추적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구현됩니다:

  1. 도착 예정일 초과 자재 자동 경고
  2. 특정 자재 그룹별 가시성 제공
  3. 일자별 수급 누락 이력 관리

6. LLI 추적 시스템 도입 사례

사례: 국내 H사

  • LLI 38종에 대해 RFID 부착 → 실시간 모니터링
  • 일정 지연률 30% → 8%로 감소

사례: 국내 D사

  • BIM 기반 디지털 트윈 연계로 입고일 2주 전 경고
  • 위약금 발생 건수 연간 6건 → 1건으로 감소

7. 실무자를 위한 팁과 주의사항

  1. 시스템 구축 초기에는 공급사와의 표준화 회의가 핵심입니다.
  2. 기자재 정보와 납기 스케줄은 DB화하여 사전 검증이 필수입니다.
  3. LLI 범위 선정은 현장별 위험도 분석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모든 자재에 RFID를 부착하는 건 비용 대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4. 디지털 트윈 도입 시 설계팀과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단순 기술 도입보다 업무 프로세스와의 정합성 확보가 우선돼야 합니다.
  5. 외부 솔루션을 도입하더라도 내부 PM 시스템과의 연동성 검토는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8. FAQ

Q1. LLI는 보통 어떤 자재를 말하나요?
A1. 터빈, 압축기, 압력 용기, 고압밸브 등 제작과 운송에 6개월 이상 걸리는 주요 장비를 말합니다.

 

Q2. 중소 규모 프로젝트에도 LLI 추적 시스템이 필요한가요?
A2. 예. 규모와 관계없이 일정이 촘촘한 프로젝트일수록 도입 효과가 큽니다.

 

Q3. LLI 추적 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요?
A3.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수천만 원~수억 원까지 다양하지만, 위약금이나 긴급 조달로 인한 손실을 고려하면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Q4. IoT 기반 시스템이 도입된 후에도 수동 오류가 발생하지 않나요?
A4. 초기에는 일부 누락이 있을 수 있지만, 자동화 비율이 높아질수록 수동 오류는 급감합니다.

 

Q5. 디지털 트윈이 일정 관리에 실제로 도움이 되나요?
A5. 네. 문제 발생 시점을 사전 예측하고, 시공 간섭이나 납기 충돌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일정 지연 예방에 탁월합니다.


9. 마무리

LLI 추적 시스템은 단순한 IT 솔루션이 아닌, 플랜트 프로젝트의 생존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정 최적화는 결국 발주처의 신뢰로 이어지고, 이는 곧 회사의 수익과 직결되니까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Early Procurement의 필요성과 실행 조건 글도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 리스크 대응 측면에서 Early Procurement 전략에 대해 다뤘습니다.